고려대학교 과학기술협동과정

QUICK MENU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대학원
  • 도서관
  • KUPID

교과목

기초공통과목



SOS 501 과학학특강 I(Topics in Science of Science I) [3]
과학사상의 발달과정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함.

SOS 502 과학학특강 II(Topics in Science of Science II) [3]
과학기술의 전개과정에 관한 현상분석 및 접근방법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함.

SOS 503 과학학의 논리와 방법론 I(Logic and Methodology of Science of Science I) [3]
과학학 연구의 기본 원리 및 절차를 검토하는 내용으로 구성함.

SOS 504 과학학의 논리와 방법론 II(Logic and Methodology of Science of Science II) [3]
과학기술지식의 현실적 적용에 관한 관점, 제도 및 정책적 쟁점들을 내용으로 구성함.

SOS 505 과학학과제연구I(Research Project on Science of Science I) [3]
학위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수집정리하여 논문 프로포절을 완료하는 내용으로 구성함.

SOS 506 과학학과제연구II(Research Project on Science of Science II) [3]
학위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수집정리하여 논문 프로포절을 완료하는 내용으로 구성함.

SOS 507 과학·기술의 역사(Study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3]
과학과 기술의 역사와 변화 과정을 과학기술학 관점에서 이해하고, 향후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정을 논의한다. 

SOS 508 과학·기술의 철학(Study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3]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철학적 의미와 해석을 살펴보고, 현대 과학기술 발전과정에 대두된 철학적 쟁점과 이슈들을 논의한다. 

SOS 510 과학기술정책(Study of the Policy of Science and Technology) [3]
과학기술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상태와 방향을 이해하고, 과학기술의 정책 목표, 정책 과정, 추진 체계, 주요 이슈 등을 개략적으로 논의한다.

SOS 511 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s) [3]
과학기술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적 논의를 하기 위한 양적, 질적 연구방법론을 다룬다. 사회과학 연구의 경우 개념, 변수선정, 가설구성과 검증, 연구설계 및 자료분석의 방법을 배운다.

SOS 512 과학철학 (Philosophy of Science) [3]
과학철학의 일반적 개념과 과학성, 설명, 모델, 이론의 구조를 다루고, 과학혁명 등 과학철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SOS 513 과학사 (History of Science) [3]
과학기술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주제를 역사적 관점에서 다룬다.

SOS 514 과학사회학 (Sociology of Science) [3]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상호작용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다룬다.





세부전공 Ⅰ <과학철학 및 과학사>



SOS 602 과학철학연습II(Seminar on Philosophy of Science II) [3]
과학적 가설의 확증(Confirmation), 추정이론, 검증이론 등에 관한 통계학자와 철학자의 논리 등, 개별 과학들에서 야기되는 철학 문제들을 선정하여 다룬다.

SOS 612 과학사특강II(Topics in History of Science II) [3]
물리과학, 생명과학 등 자연과학의 특정 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분야의 과학사에 대해 개관한다.

SOS 788 과학철학연습(Seminar on Philosophy of Science) [3]
현대 과학철학적 논의들을 음미함으로써 그 성과들을 간추리고 앞으로의 문제들을 분석하여 철학적 사유와 과학학적 활동에 도움이 되는 바들을 검토한다.

SOS 789 과학철학특강(Topics on Philosophy of Science) [3]
과학철학의 일반적 개념과 접근방법을 총괄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학철학 일반의 주제들을 다룬다.

SOS 790 과학사연습(Seminar on History of Science) [3]
과학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특정 인물의 원전 연구를 하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세부전공 Ⅱ <과학사회학>



SOS 628 과학사회학이론과 방법(Theory and Methods of Sociology of Science) [3]
과학사회학의 각 이론과 방법을 총론적 입장에서 다룬다.

SOS 629 기술사회학이론과 방법(Theory and Methods of Sociology of Technology) [3]
기술사회학의 각 이론과 방법을 총론적 입장에서 다룬다.

SOS 633 과학지식사회학연구(Studies of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3]
과학기술사회학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토대로 성과와 한계, 가능성을 살펴본다.

SOS 751 과학사회학특강 I(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I) [3]
과학과 기술이 사회구조 및 변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와 과학과의 관계에 대해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탐구한다.

SOS 752 과학사회학특강 II(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II) [3]
과학지식사회학과 과학기술의 사회적 구성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 등 현대과학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세계에 대한 이해와 설명력을 제고한다.

SOS 791 과학기술문화사회구성론(Studies of the Social Constructivism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ulture) [3]
과학기술의 사회구성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SOS 792 기술사회학특강(Topics in Sociology of Technology) [3]
기술이 사회구조 및 변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와 기술과의 관계에 대해 사회학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SOS 793 기술사회학연습(Seminar on Sociology of Technology) [3]
기술사회학 이론 발전에서 최근에 제시된 중요한 성과와 논의를 중심으로 심화 탐구한다.





세부전공 Ⅲ <과학관리학>



SOS 641 과학기술정보체계(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3]
공공부문에서의 관리정보체계(PMIS, 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를 다룬다. 그리고 국내외 과학기술 정보체계를 소개하고 자료검색 등의 실습도 실시한다.

SOS 642 과학기술정책(Science & Technology Policy) [3]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의미와 함께 과학기술정책이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책론적인 입장에서 고찰해 보고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SOS 643 연구개발정책(R&D Policy) [3]
민간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조직이 수행하는 연구개발과 기술혁신 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정부의 연구개발정책 등 이러한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논의한다.

SOS 648 기술과 혁신의 경제학(The Economics of Technological Change and Innovation) [3]
기술과 혁신에 대한 논의를 신고전학파, 네오슘페테리언, 성장론 등 다양한 경제학적 방법론을 통해 고찰해본다.

SOS 651 정보통신정책(ICT Policy and Strategy) [3]
정보통신산업의 기술과 산업의 추세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정보통신정책을 기술 및 산업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SOS 653 혁신체제론(Theory of Innovation System) [3]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는 혁신체제론을 국가혁신체제, 산업혁신체제, 지역혁신체제,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맥락에서 접근한다.

SOS 654 기술이전론(Theory of Technology Transfer) [3]
사회,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맥락에서 기술이전의 주요 이론을 살펴본다.

SOS 655 기술, 경제성장 및 고용(Technology,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3]
최근 기술변화가 성장의 원천임을 인식하면서 성장 및 고용과 기술변화의 상호관계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경제학 이론을 탐구한다.

SOS 658 정책분석과 정책형성과정(Policy Analysis and the Policy Making Process) [3]
정책대안을 예측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한 이론을 탐구하고 정책형성과정에 대한 제반 논의를 검토한다.

SOS 731 과학관리특강 I(Topics on Science Management I) [3]
기술경제학, 기술경영학, 산업정책, 기술평가 등 과학관리와 관련된 제반 이론을 검토한다.

SOS 733 과학관리연습 I(Seminar on Science ManagementⅠ) [3]
과학관리와 관련된 특정분야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SOS 734 과학관리연습 II(Seminar on Science Management II) [3]
과학관리와 관련된 특정사례를 분석한다.

SOS 794 기술이전전략론(Theory of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Strategy) [3]
사회,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맥락에서 기술이전의 주요 이론을 살펴보고 산업 및 기업단위에서의 기술전략을 연구한다.





세부전공 Ⅳ <과학언론학>



SOS 663 과학언론특강 I(Topics in Science Reporting I) [3]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상 영역들을 정의하고 기존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문헌을 체계적으로 연구 검토하며, 커뮤니케이션학에의 개괄적이고 기초적인 이해를 돕는다.

SOS 665 과학언론연습 I(Seminar on Science Reporting I) [3]
과학 커뮤니케이션 보도 및 체제와 관련된 구성 요인 및 형태 등의 문제점을 사회적․정치적․문화적으로 검토하며, 이와 관련된 기존 문헌들을 개괄적으로 연구 검토한다.

SOS 667 과학기술보도론(Science and Technology Reporting) [3]
매스컴 효과론을 중심으로 각종 대중매체를 통한 과학기술 보도 전반에 관해 미시적 또는 거시적 이론들을 분석․검토해 본다.

SOS 669 대중의 과학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3]
지식(Knowledge)중심의 일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대중 이해의 능동성을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통한 대중의 과학이해를 연구한다.

SOS 671 과학기술과 공공커뮤니케이션(Public Commun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3]
“대중의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PCST)”의 구조, 의미 및 함의를 탐구한다. PCST가 발생하는 맥락을 살펴보고, 비전문가인 일반 대중을 위한 과학 관련 정보가 생산되는 데 있어 그들이 관여되는 동기와 제약을 살펴보며, PCST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개발시키기 위한 방법을 배운다.

SOS 672 위험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 [3]
환경, 농업, 식품, 건강 등의 위험에 관한 과학적 정보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이론과 그의 연구를 살펴본다. 이 과정은 위험 인식과 행위에 관련된 사회 이론에 중점을 둔다. 잔여 살충제, 폐기물 처리, 수질, 환경적 위험물(hazard) 및 개인의 건강행위 등이 포함되는 사례 연구를 할 것이다. 본 강의는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며 개발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SOS 673 과학문화와언론정책(Science Culture and Media Policy) [3]
과학문화 형성을 위한 정책부분들을 알아보고, 특히 매체를 중심으로 대중과 과학자들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정책을 모색한다.

SOS 795 과학뉴스론(Theory of Science News) [3]
매체에 따른 보도 뉴스마다 사회적 위치와 기능이 달라지는데, 이를 각각의 내적․외적 요인 별로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중심을 둔다.

SOS 796 과학커뮤니케이션세미나(Seminar on Science Communication) [3]
과학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인 내용과 주요 이론을 살펴본다.

SOS 797 과학커뮤니케이션과 정보기술(Scien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3]
급속히 발달하는 정보 기술로 인한 과학기술 지식의 새로운 형성과정과 공유, 그리고 대중들과의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고찰한다.




 

<선택과목>


 

SOS 724 환경사회학(Environmental Sociology) [3]
사회문제로서의 현시기 환경문제에 대한 진단과 대안을 습득하고 환경에 적응하는 사회와 개인을 연구한다.

SOS 741 모델링이론(Modeling Theory) [3]
자연과학에서의 모형접근법에 대한 소개를 원자, 전자, 핵, 소립자, 기체, 고체, 액체 순서로 하고 점성, 쥴톰슨효과, 펠티에효과, 반도체 에너지띠 이론, 초전도체, 초과학의 개략적 내용을 가르친 다. 이러한 모형이론을 일반체계이론이 여태까지 다루어온 사회, 문화, 조직, 학문 등에 응용하여 지 금까지의 과학적 진전을 다룬 다음 우주모형, 지구모형, 인류모형, 인체모형을 공부한다.

SOS 742 기술예측 및 기술평가(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Technology Assessment) [3]
기술 혁신의 과정, 기술이전, 기술확산 이론 등을 고찰하고 기술 예측 및 기술평가의 일반적인 방법 론을 연구한다. 

SOS 743 기술관리론(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3]
과학기술 개발조직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시도한다. 조직 체계, 인사관리, 연 구개발 회계, 평가 등의 문제를 관리과학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SOS 785 과학기술사회학의이론과방법(Theories and Methods of Sociology of Science) [3]
과학사회학의 여러 이론과 방법론들에 대해 총괄적으로 공부하고, 개인 연구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SOS 786 지속가능발전의사회학(Soci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3]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에 대해 공부하고, 한국에서 사회·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한다.

SOS 798 사회인식론강의(Social Epistemology) [3]
사회인식의 이론 정립에 있어서의 경험적, 분석적 방법의 타당성과 그 한계를 검토한다.

SOS 799 인공지능과 인지과학의 철학(Philosophy of Artific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Science) [3]
과학적 합리성과 실재론 등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지과학의 작업을 정의하고 그 작업에 대한 개괄적 견해를 제공한다. 특히 과학적 방법론으로서의 인지과학 방법론에 대해 연구하고, 양자역학 이론이 지니는 인지과학적 함축을 논의한다. 아울러 과학철학의 자연화에 관련된 논의들을 인지과학적 지평에서 고찰한다.

SOS 800 커뮤니케이션방법론(Communication and Methodology) [3]
본 과목은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개인, 조직, 사회적 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SOS 801 과학학특수과제연습(Seminar on Special Topics of Science of Science) [3]
학위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수집정리하여 논문 프로포절을 완료하는 내용으로 구성한다.